{{Header.getPageTitle}}

1. 개요

두 사람의 경기자가 일정한 규칙 하에서 맞붙어 상대방의 양 어깨를 동시에 땅에 대든가 또는 심판의 판정으로 승부를 정하는 경기를 말하며 투기 종목 중 기원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2. 역사

레슬링이 언제부터 시행된 운동인지 알기 위해 유적지의 출토품이나 예술작품 등을 통해서 고찰할 필요가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고대 이집트 왕조 중기(BC 2131∼BC 1786)의 것이다. 그밖에 인도에서는 BC 1500년 이전에 시작되었으며 고전적 서사시들인 리그베다 등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BC 700년부터 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메소포타미아 등 고대국가에서도 레슬링 경기가 있었으며, 그뒤 에게 문화를 거쳐 고대그리스에 계승되어 가장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를 잡았고 BC 776년부터 고대올림픽의 주요 종목이 되었다.

기원전 Beni Hassan 왕의 묘지에 그려져 있는 레슬링 그림

고대올림픽 대회에서는 3판2승제의 토플링 경기와, 레슬링과 복싱을 혼합한 것으로 한 사람이 항복함으로써 끝나는 판크라티온이 있었다. 그리스·로마 시대로 접어들 무렵에는 다액의 상품을 걸어 이에 눈독들인 직업적 선수들이 판을 치는 레슬링으로 타락하였고, 경기내용도 야만적으로 변질되어 버렸다. 로마인은 종래의 레슬링에 창의성을 가하여 새로운 규칙을 제정하였는데, 이것이 현재의 그레코로만형의 원형이 되었다.
  • 기원전 3세기, 그리스의 레슬링을 형상화한 조각상

  • 17세기, 레슬링 경기를 그린 그림

유럽이 암흑시대를 거쳐 중세의 기사제도(騎士制度) 시대에 접어들자, 기사라면 반드시 몸에 익혀야 할 필수적인 무예의 하나로 레슬링이 장려되었으나, 16세기에 화기(火器)가 생겨나면서부터 레슬링은 무예로서의 의의가 사라지고, 대신 순수한 경기로 탈바꿈하였다. 한편 11세기경 유럽의 신형 레슬링이 영국에 전해졌고, 기사뿐만 아니라 시민들 사이에도 보급되었다. 그 가운데 랭커셔(Lancashire) 지방에서 파생한 독특한 형이 현재의 자유형의 원형이 되었으며, 영국인의 세계진출에 따라 급속도로 보급되었다. 자유형은 주로 영국과 미국에서 보급되었는데, 프로 스포츠로 시작하여 1888년 아마추어체육협회의 인정을 받은 후 아마추어 스포츠로도 널리 행해졌다.

3. 한국의 역사

2012 런던 올림픽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66kg 김현우 금메달 획득

우리나라는 1935년 일본 유학생들에 의해 레슬링이 소개된 이래 꾸준히 발전하여 각종 세계대회 및 올림픽에서 우승하는 등, 아마추어 레슬링의 세계적인 강국이 되었다. 특히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양정모가 72kg급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우리나라가 최초로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쾌거였다.

4. 시설

레슬링 경기장의 규격

경기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높이 1.1m를 넘지 않는 12m 사방의 대(臺) 위에 매트리스를 깔고 그 위를 비닐제의 캔버스로 덮는다. 다시 거기에 지름 9m의 원을 그려 그 안에서 경기를 하게 된다. 이 때 원 둘레의 안쪽으로 1m 너비의 패시비티존(passivity zone)을 두어 소극적인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5. 경기 방법

인디애나에서 열린 레슬링 경기에서 미 공군소속 선수들의 경기

그리스 시대에는 땅바닥에서 하였으나 점차 레슬링이 발전되면서 아마추어 선수는 매트에서, 프로 선수는 권투와 같이 높게 로프를 둘러친 링에서 하게 되었지만 아마추어 레슬링의 가장 큰 변화는 20세기에 있었다. 초기의 레슬링은 휴식 없이 계속해서 경기를 벌여 3판1승이나 3판2승으로 치러졌고, 시간제로 하거나 또는 시간을 제한하지 않기도 하였다.

1984년 올림픽, 자유형 레슬링 경기에서 Ludwig Banach 대위의 모습

아마추어 레슬링은 3분 3회전으로 제한되었으며 그 규정이 1967년부터 모든 국제대회에 적용되었다. 또한 폴에 이르지는 않았어도 한 선수가 상대선수를 홀드로 제압하거나 폴의 위험에 빠뜨리면 점수를 주는 제도가 마련되어 무승부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2명의 경기자가 3명의 심판 입회하에 규정된 경기장에서 겨룬다.

진행방법은 예선전과 결승전으로 나누어 실시하는데, 이는 각 체급 4명 이상이 참가하는 전종목에 해당하며, 2∼3명만이 참가하는 체급의 경우는 예선전을 생략하고 리그전으로 진행한다. 경기일정은 올림픽 경기대회는 5일간이고 세계 및 대륙 간 대회는 4일간이며, 각 체급의 경기는 3일 만에 끝내야 한다. 즉 예선전은 제 1∼2일, 결승전은 제 3일에 하게 되는데, 한 선수가 하루에 3회 이상의 경기는 할 수 없다.

매트 중앙부에서 스탠드레슬링으로 시작하여 서로 먼저 상대방 선수의 두 어깨를 매트에 누르고 1초 동안 닿게 하여 폴시키기 위해 겨룬다. 한쪽 선수가 상대방 선수를 그라운드레슬링으로 끌어들이면 눌린 쪽의 선수가 빠져나가지 않는 한 그라운드레슬링이 계속된다. 폴·기권·실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수들 간의 점수 차가 10점이 되면 시합은 정규시간 이전에 끝난다.

그레코로만형 시합경기 장면

판정점(포인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상대방을 던져서 엎어 눌렀을 때, 상대방을 앉게 하고 움직이지 못하게 하였을 때, 상대를 매트에 대지 않고 공중에서 1회전(回轉)시켰을 때, 태클하여 상대가 양손을 바닥에 짚었을 때, 상대방이 경고를 받았을 때 1점을 얻고, 상대방을 5초 미만 폴에 가까운 위험한 상태로 몰아넣었을 때, 순간적으로 폴을 시켰을 때는 2점을 얻는다. 또한 상대방을 5초 이상 폴에 가까운 상태로 만들었을 때에는 3점, 상대방을 허리보다 높이 들어올려 던지고서 5초 이상 폴에 가까운 상태로 만들었을 경우는 4점, 그라운드레슬링에서 큰 기술로 상대를 위험한 상태에 빠뜨렸을 때는 5점을 받는다.

1980년 올림픽챔피언인 소련의 Zhaksilk Ushkempirov와, 불가리아의 Pavel Kristov의 결승전

목을 조르거나 팔을 등 뒤로 돌려 비틀거나 눈썹과 입 사이에 손을 대거나, 그레코로만형에서 허리 아랫 부위를 잡고 공격하거나 방어하는 등 반칙을 하였을 때, 고의적으로 매트 밖으로 도망치거나 상대방을 매트 밖으로 밀어내거나, 상대방의 손목을 붙잡고 놓지 않는 등 소극적인 방해 행동을 하였을 때는 경고를 받는다. 경고를 3회 받으면 실격이 되는데, 포인트가 10점 이상인 선수는 경고를 3회 받더라도 실격되지 않으며, 3회째·4회째는 상대방에 포인트가 주어지고 5회째에 비로소 실격이 된다.

중국의 Xiaosheng Fang선수가 그리스의 Anthanasios Kydros 선수에게 공격하는 모습, 19회 세계군인 레슬링 챔피온쉽

경기는 선수의 체중에 따라서 48kg 이하 급부터 100kg 이상 급까지 10체급으로 나누어지고, 독특한 편성방식과 벌점법에 의해 진행된다. 만약 결승리그에서 동일 득점, 동일한 조건의 승자가 2명 이상 생겼을 경우는 먼저 그 경기대회를 통하여 폴승이 가장 많은 선수를 가려내고, 폴승마저 동일하다면 판정승 점수가 많은 선수, 이것도 같다면 비긴 횟수 및 경고를 받은 횟수가 적은 선수를 가려낸다. 만약 그래도 동일한 조건이라면 무승부로 판정한다.

개인전은 체중별로 토너먼트 방법 또는 배드마크 방법(레슬링경기에서 쓰이는 벌점법)이 이용된다. 단체전은 두 팀이 대항전 형식을 취한다. 경기는 가벼운 체급부터 순차로 가지며 승자가 많은 쪽이 승리팀이 되고, 경기시간은 10분간이며 초심자급은 6분간이다. 승패 중 어느 하나로 판정이 내려지며, 무승부는 없다.

2012년, 그레코로만형 시범경기

경기중의 1회전 경기종료후 점수가 0:0일 경우 클린치(Clinch)를 실시하여야 한다. 주심은 2회전이 시작되면 양 선수를 중앙(Center) 원안에 세운 후 토스로 실시하여 심판장, 부심, 선수에게 보여준다. 그후 양 선수의 가슴과 가슴을 맞대고 양다리는 곧게 펴져 있는 상태로 유지하며 선제 선수가 먼저 잡고 반대선수가 정확하게 잡은 후에 호각으로 시작한다.

토스하여 진 선수는 센터 앞에서 스탠드자세로 가슴을 곧게 펴고 양팔을 가볍게 띄운 자세를 유지한다. 토스하여 이긴 선수는 상대방 가슴에 가슴을 밀착시키고, 팔을 홀드하며 클린치를 해야 한다. 토스하여 이긴 선수가 먼저 클린치 한 후 주심은 상대선수에게 클린치를 요구한다. 양 선수가 가슴과 가슴을 맞대서 정확한 클린치를 했을 때, 주심은 호각으로 경기를 속개한다. 어느 한 선수가 상위 내용의 절차를 거부할 경우에는 주심은 큰소리로 Attention, Red, Blue라고 발성한다. 그리고 재차 위반행위가 발생되면 즉각 그 선수에게 Caution, 2 Point+벌칙+ Choice 선택권을 준다.

클린치를 시작하여 1분이 경과한 후 득점이 없으면 먼저 잡은 선수는 상대선수에게 1점을 실점한다(Caution, 1 Point, Choice). 만약, 양선수가 클린치 상대로 동시에 한 발이 보호구역에 있거나, 누가 먼저 보호구역으로 가는지를 알 수 없을 경우 새로운 클린치를 매트 중앙에서 명령되어야 한다. 클린치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은 상대에게 넘어간다.

만약, 같은 상황이 2회 발생할 시, 심판은 의무적으로 누가 먼저 밖으로 나갔는가를 결정해야 하며 그리고, 제재를 주어야 한다(Caution, 1 Point, Chioce). 만약, 처음 매트에서 이탈할 때 심판은 이탈선수를 선별하고, 제재는 즉각 적용되어야 한다(Caution, 1 Point, Chioce). 홀드의 자극으로 이탈할 경우 먼저 이탈한 선수에게 같은 방식으로 또한 벌칙을 받는다(Caution, 1 Point, Chioce).

파테르(Parterre)의 경우 정자세 스타트는 방어자가 양 무릎과 양팔사이가 최저 20cm이상 매트에 엎드린 자세로 하고 공격자는 양손이 상대의 어깨와 등에 쫙 펴 있는 상태로 나란히 얽힌 상태로 시작한다. 비정상자세란 방어자가 팔꿈치를 몸에 붙인 상태, 매트에 엘보가 터치된 상태, 배가 매트에 터치된 상태, 한 손을 들거나 한 무릎을 든 상태, 휘슬전 도망 행위를 하는 경우, 그리고 공격자가 인 경우이며 공격자는 어깨와 양손을 터치하지 않았을 때, 팔꿈치와 가슴을 상대의 등에 얹힌 상태, 허리와 어깨 등을 잡고 있는 상태로 시작하는 것이다. 비정상적 자세가 된 상태에서 스타트가 되면 주심은 큰소리로 반드시 첫번째 주위를 주고 두 번째는 즉각 벌점 0 + 1을 주고 자세(파테르)의 선택권을 준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레슬링

{{text}}